복음과 믿음
(436강/437강) 윤리/인간 230620 본문
녹취:이하림
436강-YouTube강의(윤리 시편 138:8)20230620-이 근호 목사
제436강, ‘윤리’. 윤리란 사람이 사람으로서 지켜야 될 도리, 이것을 윤리라 하는 겁니다. 개인적으로 있을 때는 도덕이라 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윤리라 하는 거예요.
동양에 사는 공자, 맹자가 이 윤리를 굉장히 강조했죠. 공자, 맹자는 사람을 가운데 두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다섯 개로 정립했어요. 하나는 임금님에 관한 것, 또 하나는 부모님에 관한 것과 또는 부부에 관한 것, 그리고 형제, 친구에 관한 것과 동기생에 관한 것. 동기생 또는 같은 형제들. 뭐 동기생과 형제를 하나로 합치면 네 개라 할 수 있죠.
그렇게 관계를 정해놓고 가장 이상적인 세계라 하는 것은 그들과의 관계의 정도(定道)를 지키는 거예요. 정도를 지키려면 인간 속에 바른 삶에 대한, 이게 바르게 사는 거다 하는 지식만 있으면 안되고 그럴 능력도 갖고 있다는 걸 전제로 하는 겁니다.
바르게 산다, 이것이 옳다, 말만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고 바르게 살 수 있는 능력이 인간 속에 들어있다고 보는 겁니다. 동양에서 말하는 윤리라 하는 것은 정신을 바짝 차리면 되겠죠. 정신만 차리면 못할 일이 없다. 정신만 바짝 차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네 가지 가지처럼 그 네 가지 관계에 있어서 정도, 바르게 살면 이상(理想) 국가가 된다고 보는 겁니다. 하자가 없는 이상 국가. 서로가 서로에게.
신하는 임금에게 임금은 신하에게 정도를 지키면 되고 부모는 자식에게 자식은 부모에게 그렇게 지키면 되고 부부도 마찬가지고 친구나 형제간도 마찬가지고 남편-아내, 아내-남편 서로 정도를 지키면 이상적인 사회가 된다, 라고 했어요.
동양철학 이야기를 왜 하느냐 하면 그 동양철학에 대해서 사람들이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는 게 참 희한해요. 동양철학 얘기를 하게 되면 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이며 ‘당신이 그렇게 이야기 안해도 평소에 나도 그렇게 살려고 애를 쓰고 있었습니다.’라는 식으로 반응을 나타내요. ‘당신 말이 틀렸습니다.’ 가 아니라 ‘그거 우리 다 인정하는 진리입니다.’ 라고 인정하고 들어가는 거예요. 그래서 윤리라는 것은 모든 사람이 공감을 할 때 완전한 윤리가 성취된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인간들이 공감을 한다는 것은 공감했다는 시작 자체가 다른 진리는 아예 없다, 윤리 외에 다른 진리는 없다는 것을 기정사실화하는 겁니다. 제가 이렇게 이야기하면 벌써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되는가는 이미 끝났죠. 확정됐죠. 삼강오륜, 그렇게 살면 되고 네 가지 관계성을 돈독히 하면 되는 겁니다.
자, 이런 마음을 가지고 교회 온다 이 말입니다. 그런 마음을 가지고. 나에게는 얼마든지 선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그 선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을, 아까도 이야기했지만, 정신 바짝 차리는 거예요. 집중하는 겁니다. 바르게 사는 데는 정신만 바짝 차리면 누구든지 바르게 살 수 있는 자질이 모든 인간 태어날 때 이미 함유되어 있다고 했어요. 그리고 그 점에 대해서 사람들이 교회 올 때 빈 마음으로 오는 것이 아니고 교회 와서 하나님 말씀대로 듣고 내가 바르게 살아서 바른 인간이 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교회 오게 됩니다.
그 교인들을 맞이하는 목회자의 설교는 그들의 생각과 문제를 일으키면 안 되겠죠. 마찰을 일으키면 안 되겠죠. 충돌하면 안 되겠죠. 교인들은 이미 목표를 확고히 갖고 교회 왔단 말이죠. 바르게 살기. 교인들의 목표가 뭡니까? 내가 바른 인간이 어디까지 될 수 있는가를 본인이 확인하고 싶어서 교회 온 거예요.
그런데 강단에 뭐가 펼쳐져 있어요? 성경이 펼쳐져 있죠. 사람들은 생각합니다. 그 성경 펼쳐보나마나 성경도 ‘너 똑바로 안 살래? 바른 인간 돼야지.’ 그 이야기일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성경 읽어도 건성으로 읽든지 아니면 설교시간에 주무시든지. 뭐 다 아는 이야기라 뻔하기 때문에. 왜냐하면 본인 목적이 바른 인간되기 위해서 지금 최선의 노력을 하기 위해 온 거예요. 정신 바짝 차리고.
그래서 목사 당신이 할 역할은 내가 원래부터 바른 인간이고 지금은 내가 좀 바쁘다 보니까 바른 인간에서 약간 뒤쳐졌지만 당신의 귀한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바른 인간 되기에 바짝 정신 차려서 앞으로 더 진전을 보여줄 수 있는 그러한 교훈 같은 거 설교단에서 우리한테 이야기하세요, 라는 태도를 가지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과연 성경이 말하는 윤리가 인간들이 말하는 성선설, 태어날 때부터 선하다는 것을 기정사실화해서 정신 바짝 차리고 최선을 다하면 지킬 수 있는 그런 윤리도덕적인 사람 만드는 것이 바르게 사는 것이 그게 성경이 원하는 겁니까? 아닙니다.
시편 138편에 보면 성경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감사하라. 자, 방금 제가 동양철학에서는 최선의 노력을 하면 바르게 살 수 있다 했죠. 그런데 성경은 감사하라는 거예요. 시편 138편 2절에 “내가 주의 성전을 향하여 경배하며 주의 인자하심과 성실하심을 인하여 주의 이름에 감사하오리니” 감사하는 거예요.
그러면 그 이야기를 듣고 교인들이 바르게 살기 위해서 왔는데 성경에서는 감사하라 하죠. 그러면 바르게 사는데 거기다가 감사를 더 보태버리면 내가 내 계획대로 감사하는 바른 인간되는 데에 성공을 한 셈이 되겠죠. 그렇죠? 바르게 살기도 하고 거기다가 뭘 추가한다? 성경 말씀대로 주께 감사하는 것. 하나님께 감사하면 이건 뭐 완벽에 완벽한 사람으로서 점점 더 자기가 훌륭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그런데 성경에서 말하는 이 감사라는 것은 자기를 포기할 때 나오는 감사에요. 그것이 ‘주의 이름에 감사’가 되는 거예요. 주의 이름에 감사가 되게 되면 주의 이름이 가만 있어요, 아니면 주의 이름이 활동합니까? 활동하죠.
그러면 평소에 사람이 자기에 대해서 미련을 못 버리고 있고 바르게 살려고 윤리적으로 살려고 애쓰는 이유는 자기 자신이 아직도 지킬만한 가치가 있다고 우기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미 내가 나한테 고마워하고 감사할 마음 준비가 되어 있는데 내 이름이 여기 있는데 거기다가 주의 이름에 감사하라 해서 주의 이름을 감사한다 해서 그 감사가 온전한 감사가 될 수 없죠.
바꿔치기해야 돼요. 주님의 활동에 감사하는 거예요. 주의 감사를 방해하고 훼방하는 당사자가 바로 나라는 것을 알고 자기를 미워해야 되겠죠. 자기를 미워하고 자기를 부인하는 방식으로 누구에게 감사한다? 내가 활동하지도 않지만 주께서 활동하심에 감사하는 것, 이게 바로 전쟁 가운데서 이스라엘이 감사하는 거예요.
시편 138편 7절에 보면 “내가 환난 중에 다닐찌라도 주께서 나를 소성케 하시고” 내가 환난 중에 다닐찌라도. 환난을 내 노력으로 내 힘의 이름으로 이것이 온전하게 될 수가 없어요. 환난 자체가 내 힘으로 극복되는 환난을 하나님이 주신 적이 없습니다. 환난을 줬다는 말은 이제는 네가 네 일에 대해서 기대하지 말라고 환난을 준 거예요.
그러면 환난을 주신 것이 주의 활동에 들어갈까요, 안 들어갈까요? 환난 그 자체가 주의 활동에 들어가겠죠. 그게 감사한 거예요. 환난 주신 것에 감사한 거예요. 환난을 안 줬으면 계속 어디다가 기대 걸겠습니까? 내가 어느 정도로 대단한 존재가 되느냐, 거기에 기대 걸겠죠. 그럼 누구한테 감사하겠어요? 예수 믿어주는 나한테 감사할 거 아니냔 말이죠.
그러니까 주님께 감사한다는 것은 전제가 뭐냐 하면 그동안 주의 일 행하심에 나의 활동이 훼방을 놓았고 가리워 왔던 거예요. 자기부인을 못한 겁니다. 자기부정을 못한 거죠. 성경에서 윤리는 딱 하나밖에 없어요. 주께 감사하는 겁니다.
437강-YouTube강의(인간 에베소서 1:23)20230620-이 근호 목사
제437강, ‘인간’. 인간이 무엇인가. 어떤 존재를 인간이라 하느냐. 세상에서는 인간을 규정할 때 짐승하고 비교합니다. 인간을 만물의 영장이라 하면서 짐승하고의 차이점을 이야기하죠.
그래서 옛날부터 인간이 짐승보다 뛰어난 점을 몇 가지 꼽아요. 하나는 뭐냐 하면 인간은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짐승은 말을 못하지만 인간은 말을 한다. 짐승은 도구를 사용 못하지만 인간은 도구를 사용한다. 거기다가 구체적으로 하나 더 보탠다면 모든 동물들은 기거나 네 발로 걷거나 보행을 해도 어중간하게 하지만 인간만은 직립보행을 한다. 그런 것 가지고 이야기하는데 제일 큰 차이점은 인간은 언어를 사용하고 도구를 사용하고 또 인간은 불을 사용할 줄 안다.
인간들은 짐승과 차이나서 이런 세 가지, 불 사용, 도구 사용, 언어 사용을 한다고 드는 이유가 원래 인간은 짐승에서 나왔는데, 진화론이란 인간은 짐승에서 나왔는데 짐승에서 빠져나오면서 인간과 짐승의 차이점을 거론하는 거예요. 빠져나오면서 그 차이점을 부각하면서 인간이 인간답게 된다는 것은 바로 자기가 갖고 있는 세 가지 지혜, 불 사용, 언어 사용 그리고 도구 사용하는 것을 제대로 해서 이 세상에 많은 동물이 있지만 인간이라는 동물이 세상을 지배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그 이야기하고 싶어서 하는 겁니다.
성경에서 보면 당연히 그 생각이 틀렸죠. 틀렸다면 성경에서 말하는 인간은 무엇이냐? 보통 성경에서 말하는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지녔다 하죠. 그런 이야기를 하죠.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었으니까 하나님의 형상을 지녔다. 그러면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지녔다는 것이 그게 무슨 의미냐? 짐승은 형상이 없는데 인간은 형상이 있다, 그런 뜻이냐?
인간은 형상이 있다. 그래서? 그래서 뭐?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더 나갑니다. 인간은 형상이 있기 때문에 인간이 곧 하나님이다. 인간 내부에 하나님의 형상이 있으니까 인간이 신이라는 말 맞잖아, 이렇게 나오는 거죠. 인간은 인간이 곧 신이다. 인간은 뭐냐? 인간이 신이다. 만물을 다스리는 영장이다. 그렇게 말을 합니다.
하나님의 형상에 대해서 잘못 적용한 거예요. 인간이 뛰어남을 보여주기 위해서 하나님께서 인간을 형상대로 만든 게 아니에요. 짐승보다 뛰어난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만든 게 아닙니다.
그럼 인간은 뭐냐? 에베소서 1장 23절에 나옵니다. “교회는 그의 몸이니 만물 안에서 만물을 충만케 하시는 자의 충만이니라” 이렇게 되어 있어요. 다시 읽어봅니다. 인간은 무엇이냐? 그것은 모든 세상의 인간을 두고 인간은 무엇이냐고 묻지 않고 성경은 교회된 자, 성도에게만 인간이 무엇이냐를 물을 수 있는 의미있는 질문이라는 겁니다. 성령이 있는 성도에게만.
그럼 다른 인간은 왜 인간이라는 말을 안 하느냐? 다른 인간에게 인간이 뭐냐고 물으면 그들이 꼭 빠뜨리는 게 있어요. 그렇게 짐승보다 잘났고 하나님의 형상인데 왜 죽는가에 대해서 답변을 못합니다. 그렇게 잘났는데. 왜 죽지? 왜 죽어? 잘났으면 영생해야지, 죽기는 왜 죽어요.
성경에서 인간이란 무엇이냐? 예수님의 죽으심에 참여된 자를 인간이라 합니다. 예수님의 죽으심에 참여된 자. 그러니까 여기서 누가 빠지겠어요? 형태는 인간인데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않는 자는 어디에 속하지 않습니까? 성경에서 말하는 인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말씀은 그들에게 해당되지 않습니다. 그들은 버린 자식이에요. 사형에 해당됩니다.
성경에서 인간은 무엇이냐 할 때 그 질문을 예수님이 자신보고 먼저 질문을 했고 거기서 이래야 인간이라는 그 내용을 예수님이 일방적으로 완벽하게 성취를 했어요. 예수님이 성취한 그 내용이 그대로 성령을 통해서 어떤 이에게 가게 되면 그 사람은 하나님도 인정하시는 인간이 되는 겁니다. 제가 인간이라는 일반적 용어를 썼지만 성경에서는 그걸 의인이라 합니다. 또는 성도. 거룩한 사람, 성도라 이야기해요.
그러니까 하나님께 관심은 인간이란 무엇이냐 보다도 성도냐 성도 아니냐, 양이냐 염소냐, 나쁜 고기냐 좋은 고기냐, 왼편이냐 오른 편이냐, 그걸 구분하는 대상으로서 인간이에요.
좀더 자세히 이야기하면 이렇습니다. 예수님께서 먼저 이 땅에 오셔서 죄로 인하여 십자가 죽으시고 부활했잖아요. 그러면 예수님 자신이 사람의 아들로서 인자(人子)로서 인간의 완성이라 하는 것은 아버지와의 약속대로 필히 완전히 죽어야 돼요. 완전히 죽으셔야 됩니다. 주님이 인간되려면. 죽는 척하면 안돼요. 가사상태도 안돼요. 완전히 죽어야 돼요. 완전히 죽음에 넘기워져야 돼요.
다른 사람은 못해요. 다른 사람은 본의 아니게 죽는 것이고 예수님의 죽음은 죽음에 완전히 넘겨지는 겁니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언약했던 그 언약의 죽음에 자기를 완전히 실어버리고 넘기는 겁니다. 죽는 척을 하는 게 아니에요. 고난 받는 정도가 아니고 완전히 죽는 거예요.
그러니까 이 세상에 인간은 없습니다. 왜 없느냐 하면 예수님만이 유일한 인간이기 때문에 그래요. 자신이 완전히 죽음으로써 이것이 하나님 아버지의 언약이 완성됨을 아는 분은 예수님 혼자, 예수님밖에 없어요. 다른 사람은 그 자리에 낄 자격이 못됩니다.
제가 이 말씀하는 것은 우리들이 안일하게 우리 자신을 인간으로 여기기 때문에 이게 문제가 된다는 거예요. 제가 지금 시비 거는 것은 우리는 인간이 아니고 아무것도 아니에요. 그냥 흙이고 쓰레기에요. 흙이 정답이죠. 그냥 흙이에요. 왜? 언약이 없기 때문에 흙이라 이 말입니다.
진짜 인간은 아버지의 언약대로, 죽는 척이 아니고 아버지 손에 완전히 죽음을 맡겨야 돼요. 그러면 살리는 것은 누구 소관입니까? 죽은 예수님을 살리는 것은 누구 소관입니까? 아버지 소관이겠죠. 바로 그런 아버지, 그런 아들 관계에서 인간이 발생되는 겁니다.
자, 오늘 본문에서 “교회는 그의 몸이니”라고 했어요. 교회는 성도를 말합니다. 그런데 그의 몸이다. 인간은, 교회는 또는 성도는 누구 몸이다? 자기 몸이다? 아니죠. 누구 몸입니까? 예수님의 몸인 거예요. 예수님의 몸만 하나님이 인정하신 유일한 인간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러면 그 예수님의 몸에서 제가 방금 무슨 일이 벌어진다 했습니까? 완전히 죽음에 넘기우고 완전히 아버지에 의해서 살림을 받았죠. 그러면 진짜 하나님이 인정하는 인간은 뭐냐? 하나님이 죽이시고 하나님이 살리신 그 능력이 그 사람 속에 살아있을 경우에만 그 사람은 하나님이 인정하는 인간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아까 제가 얘기한, 불을 다룰 수 있고 도구가 있고 생각을 하고 언어를 사용하고 짐승보다 바르게 직립보행하고 하는 이것을 세상에서는 흔히 인간이라 하죠. 그걸 죽음에 넘겨야 되는 거예요. 그 생각이 죽음에 넘기워져야 돼요. 이거는 죽을만하다 해서 하나님께서 이런 인간을 가만 두지 않고 죽인다는 뜻을 받아들여서 ‘바로 내가 이런 식으로 나는 잘못 알고 있습니다.’는 식으로 자기 자신을 하나님에 맡겨야 돼요.
하나님께 맡긴다는 것은 하나님의 약속에 맡기는 거예요. 마치 예수님처럼. 하나님의 약속에 넘기고 그 약속대로 도로 살림을 받는 거예요. 자, 그러면 사람이 죽게 되면 자기가 죽은 걸 알아요, 몰라요? 죽게 되면 모르죠. 그런데 죽었다가 다시 살면 내가 죽었다가 산 걸 알아요, 몰라요? 알죠. 그게 믿음이잖아요.
인간은 뭐냐? 예수님이 죽었다가 살아나는 것이 실제로 일어날 수밖에 없는, 이미 일어난 일인 것을 받아들일 때 그 사람은 자기 몸이 아니고 그 사람 육체, 머리카락, 런닝 입고 있어도 그 사람은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되는 겁니다. 예수께서 이루어진 일이 그 사람 속에서 계속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성경에서 말하는 인간이라 또는 교회라 또는 성도라 하는 겁니다.
'유튜브 강의(이근호) > 유튜브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0강/441강) 짐 / 세상 230718 (0) | 2024.05.29 |
---|---|
(438강, 439강) 천기, 마음 / 230704 (0) | 2023.07.05 |
(434강, 435강) 절기/ 강함과 약함 230606 (0) | 2023.06.07 |
(432강, 433강) 사라지는 것들 / 회복과 창조 / 230523 (0) | 2023.05.24 |
(430강, 431강) 일용할 양식 / 산자와 죽은 자 / 230509 (0) | 202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