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복음과 믿음

약속의 전개(사무엘상 2:27) / 250417 본문

뒤에서 본 한국교회(안양강의'24')

약속의 전개(사무엘상 2:27) / 250417

정인순 2025. 4. 18. 09:17

음성1
음성2
수요설교요약음성

동영상1
동영상2

 

녹취:김혜근

 

수요설교(250416)요약 열왕기상 10장 1-5절(지혜와 이방인)

 

수요설교를 하는데 중간에 꺼져서 굉장히 죄송한 마음이 들었습니다마는, 그동안 잘 된 것도 우리가 노력해서 잘 된 게 아니고, 주께서 많이 봐주셔서 잘 된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이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몇 번 더 꺼질지 모르지만, 꺼지더라도 주께서 필요해서 꺼지게 하신 것이기 때문에, 마음을 잡으시기 바랍니다.

스바 여왕에 관한 문제에서 제일 곤란하고 힘든 게, 그냥 스바 여왕이 솔로몬의 지혜를 보고 놀랐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놀란 내용이 안 나와 있어서 사람들이 굉장히 궁금해 하는 거예요. “솔로몬 지가 똑똑하면 얼마나 똑똑한데? 그래봤자 옛날 사람이지. 요즘 얼마나 과학이 발달했는데?”

자, 솔로몬이 똑똑할까요? ChatGPT가 똑똑할까요? 어느 게 똑똑할까요? 솔로몬이 바둑을 둔다면 과연 잘 둘 수 있겠는가? 인간 쪽에서는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인간은 지혜를 생각하지 못하고 지식으로 생각하는 거예요. ‘똑똑하다, 놀랍다’ 지식으로 생각하는 거예요.

솔로몬의 지혜는 뭐냐 하면, 인간이 얼마나 똑똑하냐가 아니라, 인간의 뿌리가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과 어떤 식으로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느냐 이게 지혜가 되는 겁니다. 기초, 토대에 관한 문제에요. 스바 여왕이 발견한 것은 솔로몬의 똑똑함이 솔로몬 사적으로 개인적으로 인간 대 인간으로 똑똑하다가 아니라 누구로부터 유입된, 지식이 아니고 지혜라는 거예요.

지식은 묻는 것만 답변하지만, 지혜는 그 물음을 통해서 몰랐던 것까지 한꺼번에 통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안목을 열어주는 것이 바로 지혜거든요. 그래서 스바 여왕이 발견한 것은 솔로몬 배후에 누가 있다라는 점입니다. 그게 잠언서 25장 2절을 제가 언급했죠. 배후에 숨어계시는 분은 하나님이고, 그 숨어있는 하나님의 일을 하기 위해서 나타난 자가 바로 언약적인 왕, 다윗언약이라 볼 수 있죠, 언약적인 왕, 솔로몬이 숨어있는 하나님의 지혜를 대변해주고 있다고 볼 수 있죠.

그럴 때 스바 여왕은 ‘나도 이걸 써먹어야지.’하면서 벤치마킹을 하겠느냐? 벤치마킹 알죠? 모방해서 써먹는 것, 컨셉 훔쳐오는 것, 그냥 흉내 내는 거죠. 그렇게 하겠느냐? 안 그러면 내가 여기서 틀어버리는가? 스바 여왕은 솔로몬의 지혜가 어떻게 국가 전체에 속속들이 운영되고 있는가를 발견했어요. 우선 제사장 제도부터 해서 모든 구석구석에 모세 율법이 실제적으로 국가 운영 체계로써 작동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러면 스바 왕국은 택함 받은 민족이 아니기 때문에 모세 율법이 없어요. 없는 입장에서 욕심을 내서 솔로몬의 영광처럼 되겠다는 것은 있을 수 없고, 우리가 이방민족으로서 지금 다윗 언약의 최절정기에 도달한 그 솔로몬의 지혜에 우리가 복속되는, 나쁜 의미가 아니라 좋은 의미로, 자진해서 복속됨으로서 솔로몬의 여호와가, 숨어있는 하나님이 실질적으로 세상에 나타났다는 이 경이로움을 스바 여왕과 자기 백성들이 새롭게 받아들인 이것이 중요하다는 거예요.

흉내 내서 따로 괜찮은 내 나라 만드는 것보다도 이미 이스라엘 중심 체제를 인정해 주는 것, 그렇게 해서 하나님의 언약이 이스라엘 국가를 통해서 완성 상태를 보여줬다는 그 점이 놀랍다는 거죠. 스바 여왕이 솔로몬에게서 알았던 것은 인간에게서 나올 수 있는 지혜를 초과하는 지혜였습니다, 초과하는 지혜.

질문을 하면서 질문 하지도 않은 것까지 답변으로 나오는 걸 보고, ‘내가 질문을 잘 했으니까 답변이 나오지.’라는 생각조차도 이제는 포기해야 된다는 거예요. 자기 포기죠, 그걸 다 버리는 거예요. 바로 그러한 스바 여왕의 진짜 모습은 다윗언약을 일시적으로 보여줬던, 가시적으로 보여줬던 솔로몬 시대 이후에 다윗언약의 완성, 최종언약을 이루려고 오신 예수님 시대에 와서 그것이 다시 해석되는 거예요.

예수님께서 모든 언약을 절정기 정도가 아니고 완성을 시켰을 때 일어나는 특이현상이 있는데, 그게 전혀 하나님과 상관없는 자들이 하나님을 찾게 되고, 하나님께 질문을 하고, 답변을 얻는 그러한 현상이 이사야 65장 1절에서 예언되어 있어요.

그 예언대로 마태복음 12장 42절에서 땅 끝에서 남방 여왕이 와서 솔로몬에게 지혜를 얻는 것처럼, 지혜를 얻는다는 말은 예수님이 왔지만 아브라함 자손이라고 우기는 기존의 유대인들이 예수님에 대해서 지금 아주 무시하고 있는 입장에 대해서 남방 여왕이라는 존재가 고발하고, 심판하고, 정죄하는 역할을 한다는 거예요.

회개했던 니느웨 사람이 안일한 이스라엘을 고발하는 요나서의 경우와 똑같이 된 거예요. 니느웨 사람들은 요나를 통해서 심판 소식을 전해 듣고 완전히 무장해제해 버렸어요. 짐승까지 사료 안주고, 먹이 안주고 전부 다 금식에 들어갔습니다. 금식이라는 것은 ‘나 이렇게 망가져도 상관없어요.’라는 뜻이거든요. 그게 마땅하고.

왜? 목숨을 부지하는 것보다 차라리 목숨을 저쪽에 건네는 것이 진리라는 사실을, 지혜가 찾아 온 요구조건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겁니다. 가져가시고, 나는 오토바이 탈 때 손 놓고 타던 정우성처럼 모가지 뒤로 젖히고, 그냥 오토바이한테 모든 걸 일임하고 그냥 맡기는 것처럼. 그게 하나의 심판 기준이 된다는 거예요, 마지막 때에.

너희들도 복음에 대해서 이와 같은 태도를 보이지 않고, 행동하지 않으면 너희들은 천국 못 오고 지옥 간다. 그걸 보여주기 위해서 남방 여왕처럼 그런 심판으로 올 것이다. 하면서 실제로 요한복음 12장(20.21절)에서 예수님이 십자가 지지도 않으셨는데 이방인이 오는 거예요.

이방인이 온 이유가 뭐냐? ‘염치 불구하고 그냥 공짜로 얻어먹겠습니다.’ 하고 오는 거예요. 그냥 아무 것도 한 것도 없는데, ‘지혜 얻겠습니다.’ 하고 찾아오는 거예요. 아무 보태준 거도 없는데, 그냥 뻔뻔스럽게 찾아오는 거예요. 이방인이니까 율법 지킨 적도 없어요. 그냥 율법이 완성될 때 그 콩고물이라도 얻어먹겠다고 오는 거예요.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라도 먹으면 그게 목숨보다 귀한 최고의 영광이라는 겁니다. 상에서 떨어졌다, 도로록 떨어졌다, 이게 뭡니까? 영생의 부스러기죠. 부스러기는 영생이 아닙니까? 영생이랑 매한가지죠. 영생의 부스러기, 먹기 좋게 이렇게 떨어져 있잖아요. 그런 사람들이 찾아온 겁니다.

예수님께서 마태복음 20장 16절에서 “이와 같이 나중 된 자로서 먼저 되고 먼저 된 자로서 나중 되리라”고 이야기 하면서 제자들에게 먼저 이야기 하시죠. 제자들은 아무 것도 모르고, 또 ‘우리 아들 좋은 자리에~’ 할 때, “너희는 세상 주관자들처럼 되지 마라. 나는 이 땅에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고, 섬기러 왔다. 너희들도 세상주관자들처럼 섬김 받으려 하지 말고 차라리 종이 되어라.”(마20장25-27)

제가 이야기한 것처럼 이긴 자가 패배자요, 패배자가 이긴 자다. 그렇게 해서 주님께서는 십자가 지셨는데, 십자가 진 그 영광이 솔로몬이 보여줬던 그 영광이 아니라, 예수님 시대에 그것은 마귀가 보여준 거거든요. 그게 아니라, 희생물이 되었다, 희생물 자체가 되었다는 것, 하나님이 초라하게 되었다는...독생자의 영광이에요.

초라한 영광, 의도적으로 나귀 새끼처럼 우스운 꼴을 보여주는 영광, 그 영광 속에서 비로소 진짜 원래 나를 창조하신 분이 이런 꼴로 오셨다는 것과 자기 존재를 연결시킬 수 있는 사람은 뭘 해서, 율법을 지켜서가 아니라 아무 것도 한 것도 없으면서 염치 불구하고 그 영광은 정말 우리에게 영생이라고 반기는 자가 되는 거예요.

반면에 소위 좀 가르친다는 자는 “주여, 주를 위해서 복음을 전하고, 전도하고, 성경공부 다니고 했습니다.” 그러면 “누고? 너 누구지?” 몰라요. 그래서 제가 끝 부분에 그런 이야기 했죠. 자기를 위해서 사는 자가 바로 모래 위에 집을 짓는 자다.

무너질 수밖에 없는, 맨날 평생을 자기에게 목줄 감아서 “이리야, 이리야~”자기가 자기를 끌고 가야 성에 찬, 그런 식으로 사는데.. 뭐 우리가 안 그럴 순 없지만 오늘 강의처럼 ‘그게 바로 죄구나! 이런 죄인을 위해서 희생 되셨구나!’ 그러니까 어떤 일이 있더라도 감사하면 되지요.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