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 The Trap And The Solution 덫과 해결책 preacher : pastor Lee Geunho text : Philippians 1 : 19~21 date : March 29, 2020
19.for I know that through your prayers and the help given by the Spirit of Jesus Christ, what has happened to me will turn out for my deliverance. 20.I eagerly expect and hope that I will in no way be ashamed, but will have sufficient courage so that now as always Christ will be exalted in my body, whether by life or by death. 21.For to me, to live is Christ and to die is gain.
SUMMARY
If people read the Bible to find out how to be saved, it is a misunderstanding of the Bible. The Bible is not a book that satisfies man's desire to save, but a book that tells whom the world is moving for. In other words, it tells the reality of the world. What the Bible says is that the world is moving toward Jesus, around him, for Jesus. 사람들이 구원받는 방법을 알아내고자 성경을 읽는다면 그것은 그들이 성경을 오해한 것이다. 성경은 인간의 구원욕구를 만족시켜주는 책이 아니라 세상이 누구를 중심으로 누구를 위하여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 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즉 세상 돌아가는 실상을 말해주는 것이다. 성경이 말하는 바는 세상은 ‘예수님을 중심으로, 예수님을 위하여, 예수님을 향하여 움직이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The problem, however, is that people do not have the mindset to take this fact seriously. Therefore, the world is in a state of "You will be ever hearing but never understanding; you will be ever seeing but never perceiving(Acts 28:26)." 그런데 문제는 사람들이 이 사실을 제대로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다. 그렇기에 세상은 “듣기는 들어도 도무지 깨닫지 못하며 보기는 보아도 도무지 알지 못하는(행28:26)” 상태에 놓여있다.
There is a strong sense of self-centeredness inside the human body, and in order for it to be converted into Jesus-centeredness, God's resolute measures must come to his people, who will be saved, which is ‘the help given by the Spirit of Jesus Christ (verse19)’ mentioned in today's text. 인간의 내부에는 자기중심성이 강렬하게 작용하고 있어서 그것이 ‘예수님중심성’으로 전환되려면 하나님의 단호한 조치가 구원받을 자기 백성에게 찾아와야 하는데 그것이 오늘 본문에 언급되어있는 ‘성령의 도우심(19절)’이다.
The working instructions of the Holy Spirit who came to the saints are the salvation procedure planned by Heavenly Father, which is based on God's promise, the fulfillment of the Lord's covenant. Jesus Christ is the fulfiller of God's covenant. Therefore, the salvation that the gospel means is salvation for Jesus, by Jesus. Personal immortality or the achievement of personal happiness does not exist from the beginning in Jesus' salvation. 성도에게 찾아오신 성령님의 작업지침은 하나님 아버지께서 기획하신 구원절차인데, 이것은 하나님의 약속, 곧 주님의 언약의 완성에 바탕을 둔 것이다. 하나님의 언약의 성취자 되시는 분이 곧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그러므로 복음이 의미하는 구원은 예수님에 의한, 예수님을 위한 구원이다. 개인의 불멸 혹은 사적인 행복의 달성 따위는 예수님의 구원에 애시 당초 존재하지 않는다.
Therefore, the confession that can only make if salvation for Christ is working properly is the confession of the Apostle Paul mentioned in verse 21. "Living in me is Christ, and dying is also beneficial." It says, "If it's for Christ's sake, I'd rather than die. I will consider it my honor."그러므로 그리스도를 위한 구원이 제대로 효력을 발휘하고 있을 경우에나 나올 수 있는 고백이 21절에 언급되어있는 사도 바울의 고백이다. “내게 사는 것이 그리스도니 죽는 것도 유익함이니라.” 이것은 “그리스도를 위한 일이라면 저는 차라리 죽는 것도 기꺼이 감수하겠습니다. 그것을 저의 영광으로 여기겠습니다.”라는 뜻이다.
To understand the depth of this confession made by the apostle Paul, we can imagine the reaction we can show when the Lord takes away, breaks or crushes something that we cherish as much as life. It could be a child, a parent, a sibling, a family, a lover, money, stock, honor, social status, achievement, health, land, home, work, or a church of one's own. 사도 바울이 한 이 고백의 깊이를 이해하려면 우리는 우리 자신이 목숨만큼이나 소중히 여기는 어떤 것을 주님이 빼앗아 가시거나 부수시거나 뭉개어 버리실 때, 우리가 나타낼 수 있는 반응을 상상해보면 된다. 그것은 생때같은 자식, 부모, 형제자매, 가정, 연인, 돈, 주식, 명예, 사회적 지위, 업적, 건강, 토지, 집(가옥), 직장, 혹은 자신의 교회 일 수도 있다.
Now the apostle Paul is saying that if Christ wants to crush it, even if he has put his life on the line, he is willing to be crushed even to his own body. This is the nature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himself. 지금 사도 바울은 자신의 생명을 걸고 추진한 일이라도 그리스도께서 그것을 뭉개기를 원하신다면 그는 자신의 신체까지라도 기꺼이 뭉개짐을 당할 용의가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성령님이 친히 행하시는 일의 성격이다.
The apostle Paul knows that this world is an area Jesus got out of earlier. Therefore, his wish is that he himself, like Jesus, will get out of this world, if the Lord allows him. His idea is, of course, not "to save himself" but to demonstrate Jesus by his stepping out from this world. 사도 바울은 이 세상이 예수님께서 일찍이 빠져 나가신 영역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따라서 그의 소원은 주님께서 허락하신다면 자신도 예수님처럼 이 세상에서 발을 빼고자 하는 것이다. 그의 이런 생각은 당연히 ‘자기를 살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세상에서 발을 빼는 것으로 예수님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The apostle does not regard himself as a living, but as a "dead man" from the beginning. He says the reason he is dead is because Christ is alive inside him (Gal 2:20). Paul knows that he is being kept in this world by the Lord's measure in order to expose that Jesus, whom people hated and crucified, is still alive. 사도는 자신을 살아있는 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애초부터 ‘죽은 자’로 여긴다. 그는 죽은 자신이 이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이유는 ‘그리스도께서 자기 안에’ 살아계시기 때문이라고 말한다(갈2:20). 바울은 사람들이 미워하여 십자가에 못 박아 죽인 그 예수님이 여전히 살아계심을 드러내기 위한 주님의 조치로 인해 자신이 이 세상에서 유지되고 있음을 아는 것이다.
Paul's attitude is, of course, hated by people, as Jesus did. Because it goes against the world and the world can't stand it. The world talks about human dignity and values their efforts to enhance their own values and maintain their own lives. Therefore, people look on even Jesus as "some sort of means" for his own life in the name of Christianity, or a medium between God and themselves. This is the devil' s deception. 바울의 이런 태도는 당연히 예수님이 그러하셨듯이 사람들로부터 미움을 받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세상에 역행하는 것이며 세상이 견딜 수 없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세상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지껄이고 인간들이 자신의 가치를 드높이고 자신의 생명을 유지시키고자 하는 그들의 노력을 선하게 혹은 가치 있게 여긴다. 따라서 사람들은 예수님조차도 기독교라는 이름으로 자기 생명을 위한 ‘방편’ 혹은 하나님과 자신들 사이의 중간매개자로 정도로 치부해버린다. 이것은 악마의 사기다.
The idea of “I will take responsibility for my life” is the aftereffect of eating the fruit that makes humans know good and evil, and it cannot be fixed by human power. The devil cuts off the human escape route trapped in the devil's trap by making the human believe in the fake Christ. When humans attempt to make themselves alive using a mediator named “Jesus,” the devil succeeds in blocking human escape using a religion called “Christianity”. In fact, the devil himself acts as an intermediary in accordance with human needs, and eventually reveals the true nature of the ruler who controls humans. The fact that 'we don't have autonomy' has been completely hid by the devil. Eventually, humans cannot escape from this trap. ‘내 목숨은 내가 책임지겠다.’고 하는 생각은 인간이 선악을 알게 하는 과일을 따먹은 후유증이며 그것은 인간 자체의 힘으로 고칠 수가 없는 것이다. 악마는 인간에게 가짜 그리스도를 믿게 함으로써 악마의 덫에 걸린 인간의 탈출로를 차단시켜버린다. 인간이 ‘예수’라는 이름의 매개자를 이용하여 자신을 살리려는 시도를 할 때, 악마는 '기독교'라고 하는 종교를 이용하여 인간의 탈출을 차단하는데 성공한다. 사실, 악마는 그 자신 스스로가 인간의 욕구에 부합하는 매개자 역할을 하면서 결국에는 인간을 지배하는 지배자로서의 본색을 드러낸다. ‘우리에게 자율권이 없다’고 하는 사실은 악마에 의해 완전히 가리어져있다. 결국 인간은 살아서는 이 덫에서 빠져 나올 수가 없다.
However, the nature of the solution unilaterally prepared by God for his people in this difficult situation of human beings connotes in the statute of "the city of refuge" in chapter 35 of Numbers in the Old Testament . Israel is a people with a completely different peculiarity than the Gentiles. Unlike the Gentiles who live fiercely on their own with the principle of 'I have to live anyway', Israel is a people under God's covenant that God puts his will in and God himself leads. 그런데 인간의 이런 난감한 상황에 대해 하나님 편에서 자기 백성을 위하여 일방적으로 준비하신 해결책의 성격이 구약 민수기 35장의 ‘도피성’에 관한 율례 속에 내포되어있다. 이스라엘은 이방민족과는 완전히 다른 특이성을 보이는 민족이다. ‘어떻게 해서든 나는 살아야 돼’라는 원칙으로 자신들의 힘으로 치열하게 생존하는 이방민족들과는 달리 이스라엘은 하나님이 자신의 뜻을 그들 안에 담으시고 하나님께서 친히 끌고 가시는 언약민족이다.
So there is a fierce struggle between human will and God's will in Israel. Here, this city of refuge is a good illustration of the core of God's will against human will. "the city of refuge" is a temporary shelter designed to protect those who have accidentally murdered without purpose from being retaliated by the family of those who have been killed. 그렇기에 이스라엘 내부에는 인간의 뜻과 하나님의 뜻 사이의 치열한 투쟁이 있다. 여기 이 ‘도피성’에 관한 율례는 인간의 뜻에 반하는 하나님의 뜻의 핵심을 잘 보여준다. ‘도피성’은 고의가 아닌 실수로 살인을 하게 된 자들이 피살당한 자의 가족에 의해 보복당하는 것으로부터 보호받도록 마련된 한시적인 피신처이다.
Those who come into this "city of refuge" encounter the meaning of the city of refuge that they would never have known had it not been for their accidental killing. The priests originally resided in these escapades. While there, these unintentional murderers find that the reason for their lives now being protected from retaliation by the families of the murdered and the reason they were able to live in peace without being caught up in such cases in the past was all due to the effectiveness and benefits of the priest's sacrifice. They realize that their days have been kept by the grace of God, not by their own efforts and efforts. 이 ‘도피성’ 안으로 들어오게 된 자들은 그들의 우연적인 살인이 없었더라면 결코 몰랐을 도피성의 의미에 맞닥뜨리게 된다. 본래 이들 도피성에는 제사장들이 상주했다. 이들 비고의적 살인자들은 그곳에 머무는 동안, 살인당한 자의 가족들의 보복으로부터 자신들의 목숨이 현재 보호받는 근거도 그리고 지난날 그러한 사건에 휘말려 듦 없이 평안히 살아 올 수 있었던 이유도 모두가 다 제사장이 드리는 제사의 효과와 혜택 때문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들은 자신들의 하루하루가 자신의 애씀과 노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로 유지되어왔다는 것이 깨달아진다.
In addition, they find that only the life that comes from the blood of the sacrifice is the life, and that the lives they have been trying to make themselves alive are the lives on "bread", which are not true life. Distinguished from other cities, the city of refuge tells them that the principles of life are working here, which are so different from the principles that universal human beings know. It is that God had them intertwined with unwanted murder in order to put them into the life of the offering. Eventually, it turns out that the cause of this accidental murder is the Lord, and that it is the Lord that directed this accident. 또한 그들은 희생제물의 피에서 나온 것만이 참 생명이며 그동안 그들이 스스로 살리려 애써온 목숨은 ‘떡’으로 사는 목숨이며, 이것은 참된 생명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여타의 성읍과 구별된 ‘도피성’은 이들에게 보편적인 인간이 알고 있는 원칙과는 너무나 판이한 삶의 원칙이 이곳에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하나님은 희생제물의 생명 안으로 그들을 넣으시기 위하여 그들로 하여금 그들이 원치 않은 살인에 엮이게 하셨던 것이다. 결국 이 우연적인 살인의 원인자는 주님이시며 이 우연을 연출한 분이 주님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In other words, bad or regretful things we have done in our lives prove to be not our responsibility. The Lord blames the devil, the sins in us, and our ancestor Adam. After all, the Lord does not put the blame on us. Rather, This is what the LORD says to the people of the LORD, whose hard life is being maintained by the LORD : “Come to me, all you who are weary and burdened, and I will give you rest(Matthew 11:28).” This word of the Lord includes the consolation of the Lord, “My beloved children, you had a hard time sinning.” 달리 말하면 우리가 살아오면서 행한 나쁜 짓 혹은 후회스러운 짓은 우리 책임 아닌 것으로 판명된다. 주님은 그 일의 책임을 마귀와 우리 속에 있는 죄와 우리 조상 아담에게로 돌리신다. 결국 주님은 우리에게 책임을 돌리지 않으신다. 오히려 주님에 의해 이 수고로운 인생이 이 세상에서 유지되고 있는 주님의 백성들에게 주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마 11:28)” 주님의 이 말씀에는 “사랑하는 자녀들아, 죄 짓느라고 수고했다.”는 주님의 위로가 들어있다.
Therefore, the saints' lives were not their own to make themselves alive. He who lives in a way to make him alive is the man who goes to hell. Hell is full of these people. Those who go to heaven are those whose lives unfold in the way that the Lord lives in him and reveals the Lord's cross and his Lordship. 그러므로 성도의 인생은 자기 자신을 살리기 위한 자신의 인생이 아니었던 것이다. 자신을 살리기 위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사람은 지옥 가는 사람이다. 지옥은 이런 사람들로 가득 차 있다. 천국 가는 사람은 ‘주님이 그 사람 안에 사셔서 주님의 십자가와 그 분의 주되심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그들의 인생이 전개되는 사람들이다.
The solution proposed by the apostle Paul in today's text is this. “It is meaningless to us whether we are dead or not. The saints are already at the point of arrival. only Jesus Christ lives in us. We're just shells. only Christ is alive and Christ has done it all.” 오늘 본문에서 사도바울이 제시하는 해결책은 이것이다. “죽든 살든 그런 것은 우리에게 다 무의미합니다. 성도는 이미 도착지점에 와 있어요. 우리 안에 사시는 분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우린 그저 껍데기에 불과하다니까요. 오직 그리스도가 살아계시고, 그리스도께서 다 행하셨어요.”
|